4월 25일(수) ‘비정규권리보호법안 쟁취를 위한 결의대회’가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공동집회로 열렸다.
이날의 결의대회에서 양대노총은 국가인권위 의견 수용을 촉구했으며 위원장들의 단식투쟁 성과를 토대로 4월 임시국회에서
비정규권리보장 입법 쟁취를 위해 총력투쟁할 것을 결의했다.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이제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 비정규직들의 눈물을 닦아 주겠다는 약속을 지킬
때”라며 노무현 대통령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했다. 이 위원장은 또 “이번 양노총의 공동투쟁을 토대로 이후 닥칠 문제들에
대해 양노총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노동자의 이름을 함께 투쟁하자”고 호소했다.
이용득 한국노총위원장은 “87년 이후 노동자투쟁은 악법저지투쟁이었지만 이제는 입법쟁취투쟁으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또“정부일각에서 양대노총 투쟁의 끝이 다르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라며 “작은 투쟁전술은 다르지만
양노총의 이념과 목표는 하나”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용득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정부는 노사간 자율교섭을 보장해야
하는데도 정병석 노동부 차관이 교섭을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26일 교섭에 정병석 차관이 나올 경우 정차관의 퇴진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히고 “노동부가 계속 교섭을 방해한다면 김대환 노동부장관 퇴진과 노사정위 탈퇴를 비롯한 모든 사회적
대화를 중단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날의 결의대회는 약 2000여명이 참가했으며 우리노조는 약20명의 전임자들이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