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은 17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노사정교섭’과 함께 비정규개악안 저지와 비정규 권리보장 입법쟁취를 위한 ‘4월
1일 총파업’추진 등 대의원대회 무산에 따른 대책을 세웠다. 민주노총의 4월 투쟁계획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이달 28일부터 각
사업장별 철야농성을 벌일 예정이며 다음달 1일 오후 1시부터 4시간 전국에서 경고총파업에 돌입, 지역별 결의대회를 진행하며
수도권은 오후 3시까지 국회 앞으로 집결한다.
또한 4월 1일 경고시한부파업돌입 후 법안 심사소위에서 법안 강행 처리 시 다음날 08시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며 상임위와
본회의 처리를 저지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3월23일부터 4월13일까지 수요일 대국민 선전전, 3월24일 가맹·산하조직 및 추천사업장 간담회 및 기자회견,
3월28일부터 4월 국회 종료까지 가맹·산하조직 및 사업장별 철야농성 등 세부 투쟁계획을 확정했다.
민주노총은 18일 오전 11시 1층 회의실에서 ‘비정규권리보장을 위한 4월 총력투쟁방침’기자회견을 갖고 중집에서 결정된
투쟁계획을 발표했다.
이날의 기자회견에서 이수호 위원장은 4월 파업투쟁과 관련하여 “강력
한 지도집행력을 구축하기 위해 재신임건을 자진 철회하고 국회의 비정규개악안에 대한 강력한 저지전선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전제하고 국회와 정부는 비정규법안의 강행처리 방침을 중단하고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하였다.
우리노조 고영주 비대위원장은 “이번 비정규개악안이 통과된다면 현재도 심각한 수준에 달한 정부출연연구소의 비정규직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하고“정규직마저 비정규직으로 전환시키는 길이 합법적으로 열리는 이번
비정규보호법안 통과를 반드시 투쟁으로 저지해야한다”고 호소했다.
덧붙여 4월 총파업에 우리노조 38개 전 지부 조합원들의 힘을 모아달라고 부탁했다.